PENDING ISSUES
현안진단
외교안보 분야의 합리적 집단지성에
기초하여 만들어지는 고정 칼럼
현안진단은 외교안보 분야의 합리적 집단지성을 기초로 한반도 및 주변 정세를 심도 깊게 다각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외교안보 과제의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09년부터 월 2회 (격주 1회)로 발행을 시작해서 2023년 3월 300호를 발행했습니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현주소를 이해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힘과 지혜를 모으는데 일익을 담당하고있습니다. 2016년부터 인터넷신문 ‘프레시안’에 정기 연재중이며, 냉철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외교안보 현안을 진단하고 해법과 대안을 제시하는 칼럼으로서 많은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
현안진단 306호
윤석열 정부 임기 초반 외교 포석의 평가와 과제
윤 정부의 외교는 대북문제와 대일외교의 막다른 길을 인계받은 중압감에 눌려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나 남북관계 문제의 해법을 찾기보다 문제 자체를 포기한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로 조급해 보인다. 정부는 글로벌 차원의 가치동맹에 앞서 우리 헌법정신과 대한민국의 정통성에 입각하여 국민의 안전과 국가의 이익을 중심에 두고 외교 전략을 다듬어야 한다. 서두르지 말고, 포기하지도 말고 당당하고 끈기 있게 스마트한 외교를 해나가길 바란다.
2023-05-28
2,062 -
현안진단 305호
기회와 이익을 키우는 나침반으로서의 한국 외교
시진핑 주석의 3기 정권 출범 이후 미·중의 외교전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지만 강경 일변도는 아니다. 실제로 미·중은 경제 공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으며 작년 양국 간 교역액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윤 정부는 한·미·일 올인으로 얻는 국익과 중국을 껴안아서 얻는 국익 중 전자를 선택한 듯하다. 과도하게 한쪽에 올인 했다가 최전방에서 고립무원이 될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 고도의 경각심을 갖고 상황 변화를 지켜보며 위험 분산의 지혜로 대비해야 할 것이다.
2023-05-22
2,160 -
현안진단 304호
윤석열 대통령 방미 성과와 남·북·미의 동상이몽
신냉전이라는 용어가 회자될 만큼 국제정세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한미동맹은 오랫동안 한반도의 안보에 기여했으며, 향후에도 그럴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동맹에만 의존하는 방식으로 험난한 국제정세를 헤쳐 나가기 힘들다. 인류가 국가를 형성한 이래 모든 외교의 핵심은 국익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 피아를 가리지 않는 것이 상식이다. 동맹은 국익을 위한 수단일 뿐이며 결코 목표가 될 수 없다. 동맹은 국익의 실현을 위해 활용하는 것이지 국익과 상치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2023-04-29
2,084 -
현안진단 303호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 해야 할 일과 해선 안 될 일
4월 26~27일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을 국빈 방문한다. 대통령실은 핵심 현안을 어떻게 처리해 국가의 안보와 이익을 증진시키겠다는 설명보다는 12년 만에 갖는 국빈 방문이라는 점에만 초점을 맞춰 대국민 홍보를 했다. 이제부터라도 한·미 핵심쟁점을 추리고, 이번 대통령의 방미에서 해야 할 일과 해선 안 될 일에 대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겐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 ‘국익’의 확보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에서 ‘국빈’의 허울에 취해서는 안 될 것이다.
2023-04-18
2,140 -
현안진단 302호
미·중 대결의 최전선이 된 한반도, 국가 대전략이 절실하다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반도를 둘러싼 위기와 격변을 관리하고 미래의 방향을 장기적으로 이끌어 나갈 전략을 가지고 있는가? 당장의 미시적인 수요에 급급하여 미래의 방향성을 잃고 있는 것은 아닌가? 적어도 한반도 문제를 우리가 주도하기 위해 북한을 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틀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당장이라도 치밀한 논의와 의견수렴을 거쳐 수십 년을 내다보는 대전략을 세우고 이를 토대로 외교통일정책을 재점검해야 한다.
2023-04-03
2,078 -
현안진단 301호
대승적 결단'으로는 방일 외교가 남긴 불씨를 끌 수 없다
한·일 정상회담 이후 후폭풍이 거세다. 많은 국민이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정상회담을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해결의 계기가 아니라 포기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제3자 변제’와 ‘구상권 포기’라는 해법은 대법원 판결을 존중하며 해법과 대안을 제시하려는 노력에 종지부를 찍고, 식민지배의 불법성을 인정하지 않는 일본 측에 힘을 실어 주고 말았다. 이대로 실행될 경우, 과거는 봉인되고, 현재는 봉합되며, 미래로의 길은 봉쇄된다.
2023-03-27
2,021 -
현안진단 300호
300호 특집, <현안진단>이 걸어온 한반도 평화의 여정
평화재단 <현안진단>이 300호에 이르렀다. 햇수로는 14년을 헤아리는 긴 시간 동안 <현안진단>은 한반도와 역내 다양한 외교안보 이슈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평화를 향한 대안을 제시하는 집단지성의 길을 지향해 왔다. 성원과 질책을 보내주신 독자들께 깊이 감사드리며, <현안진단>은 향후에도 변함없이 한반도 평화의 길을 비추는 등대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2023-03-06
2,133 -
현안진단 299호
신냉전이 북한의 활로를 열 수는 없다
최근 북한의 선전과 홍보는 파격 이미지와 기법으로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번 건군절 연출의 백미는 김 위원장 부부와 김주애 뒤로 군 수뇌부가 병풍처럼 도열한 연회 사진이다. 북한의 미래를 김정은 위원장과 핵무기가 안전하게 지켜준다는 메시지일 것이다. 그러나 핵무장은 목표를 위한 수단일 뿐이지 궁극의 과제가 아니다. 북한의 활로는 어디서 찾아야할까?
2023-02-18
2,046 -
현안진단 298호
한미 동맹 강화 속의 한중 관계의 진로
2022년 중국 외교는 어려움을 극복하며 정상 외교를 발전시키고, 글로벌 경제 회복에 기여한 해로 평가된다. 2023년에는 새로운 외교 정책을 통해 글로벌 거버넌스를 개선하고 핵심 이익을 수호할 계획이다. 미중 관계는 여전히 긴장 상태이며, 대만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남아 있다. 한편, 한미 관계는 강화되고 있으나 한중 관계는 미세한 긴장감이 존재한다. 한국은 강력한 민주주의 국가로서 글로벌 중추국가로 부상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며, 한중 간의 작은 불만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3-02-07
2,040 -
현안진단 297호
대법원 판결에서 멀어지는 정부의 강제동원 문제 해법
한국 정부는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을 위해 ‘중첩적 채무인수’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일본 기업 대신 제3자가 피해자에게 판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재단을 활용해 절차를 간소화하려는 의도다. 그러나 이 접근은 대법원 판결의 핵심인 손해배상 명분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일본 측의 기여와 사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정부의 입장은 피해자들의 요구와 상충하며, 국제법 위반론을 수용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칙을 지키고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23-01-20
2,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