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The peace Foundation 평화재단

AGENDA

아젠다

SUBJECT

전체

현안진단 359호 NEW

북한 ‘조한관계론’ 유감, 긴 호흡으로 한반도 평화를 모색할 때

북한 ‘조한관계론’ 유감, 긴 호흡으로 한반도 평화를 모색할 때

북한의 한반도 적대적 2국가론을 수용하면 평화통일을 규정한 헌법과 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 정면으로 위배되며, 북한에 대한 우리의 모든 권리와 의무도 자동으로 소멸된다. 유사시 북한 문제에 대해 우리가 직접·자동 개입할 수 없고, 탈북민의 경우도 일반 난민의 지위를 지니게 될 뿐이다.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58호 NEW

북한의 느긋함을 강화하는 조급함

북한의 느긋함을 강화하는 조급함

일반적 시각에서 북한은 급할 수밖에 없다. 국제적으로 고립되고 중국과의 관계가 어려우니 러시아로 급선회할 정도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며 세계적 현안들을 흔들고 있다. 북한으로서는 위기이자 기회인 지금 시점이 움직이기 좋은 타이밍이다.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57호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북·미 관계 전망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북·미 관계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한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러브콜’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6월 27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양국 간 갈등을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해결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55호

글로벌 복합 위기의 시대,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전략 방향

글로벌 복합 위기의 시대,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전략 방향

대한민국의 외교·안보는 한반도와 북한 문제를 넘어 ‘한국형 세계 전략’의 길을 가야 한다. 지속 가능한 평화와 번영, 그리고 국가 발전을 위해 세계와 어떻게 연결하고 나아갈 지의 과제가 새 정부 앞에 놓여 있다. 이에 <현안진단>이 새 정부가 가야 할 대외 전략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자세히 보기

2025년 평화재단 정기심포지엄

이재명 정부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과 외교안보 전략

이재명 정부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과 외교안보 전략

평화재단은 신정부가 견지해야 할 대외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집단지성의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함께 참여하셔서 현 정세를 이해하고 창의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자세히 보기

119차 전문가포럼

우크라이나, 유럽, 트럼프

우크라이나, 유럽, 트럼프

.

자세히 보기

118차 전문가포럼 온라인 생중계

흔들리는 중동의 축, 시리아와 이란

118차 전문가포럼

흔들리는 중동의 축, 시리아와 이란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47호

화성인(미국)과 금성인(유럽), 안보 분업의 갈등과 교훈

화성인(미국)과 금성인(유럽), 안보 분업의 갈등과 교훈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 정책이 철저하게 자국 우선주의와 거래적 동맹관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부정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우리는 안보적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에서 미래지향적 한미동맹 비전을 새롭게 마련할 준비를 보다 철저히 해나가야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

117차 전문가포럼 온라인 생중계

우크라이나 전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자세히 보기

114차 전문가포럼 하이라이트

12.3 비상계엄 선포, 각국의 반응은?

12.3 비상계엄 선포, 미국·중국·일본·북한의 반응은?

지난 12.3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한반도를 둘러싼 각국의 반응과 향후 전망을 외교·안보 전문가들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