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The peace Foundation 평화재단

AGENDA

아젠다

SUBJECT

북한

117차 전문가포럼 온라인 생중계

우크라이나 전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자세히 보기

114차 전문가포럼 하이라이트

12.3 비상계엄 선포, 각국의 반응은?

12.3 비상계엄 선포, 미국·중국·일본·북한의 반응은?

지난 12.3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한반도를 둘러싼 각국의 반응과 향후 전망을 외교·안보 전문가들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자세히 보기

114차 전문가포럼 라운드테이블

2024년의 평가와 2025년의 전망

2024년 국가별 주요 이슈 발표와 2025년 전망에 대한 토론

12월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외교안보 전문가 5명을 모시고 2024년 국가별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평가하며, 2025년의 전망을 토론합니다. 2024년 전문가포럼을 마무리하는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특별히 오프라인 강연과 온라인 생중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관계로, 현장 청중 참가 신청을 받습니다.(유튜브 온라인 생중계 시청은 사전신청 없이 참여 가능합니다.) 많은 기대와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38호

북한의 ‘헤어질 결심’이 가져온 군사충돌 위기

북한의 ‘헤어질 결심’이 가져온 군사충돌 위기

무인기 평양 상공 침투사건에 대해 북의 매체들은 즉각 주민들의 격앙된 반응보도 및 대남 적개심 고취에 나섰다. 이미 140여만 명의 청년 학생들이 입대, 복대 탄원서를 제출했다고 한다. 인민군 총참모부는 전선 8개 포병여단에 명령을 내려 추가 무인기 투입 시 선전포고로 간주하고 격추 및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무력충돌 상황에 대한 대비까지 주문했다. 북한은 이 사건을 주민들의 대남 적개심 고취와 적대적 2국가론의 정당성 확보 및 김정은 정권 강화에 좋은 기회로 삼고 있는 듯하다.

자세히 보기

2024년 평화재단 정기심포지엄

Two Korea, 기로에 선 통일 패러다임

Two Korea, 기로에 선 통일 패러다임

한반도의 미래를 위해 어떤 대안이 모색되어야 하는지 치열한 논의와 성찰의 시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평화재단은 근본적 변화의 입구에 선 통일패러다임을 진단하고,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집단지성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자세히 보기

창립 19주년 심포지엄

남과 북의 '헤어질 결심', 한반도 평화 만들기는 가능한가?

남과 북의 '헤어질 결심'

평화재단은 창립19주년을 기념하여 남북의 남북관계 전략 및 한반도 정세를 진단하고, 평화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집단지성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2차

평화2.0포럼 in 부산 : 글로벌 복합위기와 한반도 평화

글로벌 복합위기와 한반도 평화

세계는 위험으로 연결된 초연결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을 통해 우리는 이미 경험했다. 기후 위기, 핵 실험, 사이버 테러, 인공 지능 등 인류 전체를 위협하는 리스크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래서 인간 개인을 넘어서서 인간 종 전체가 멸종할 위험에 처했다.

자세히 보기

1차

평화2.0포럼 in 광주 : 새로운 남북평화를 위한 담론과 실천

새로운 남북평화를 위한 담론과 실천

새로운 평화운동은 전통안보와 생명안보 두 차원에서 전개되어야 하며, 위험의 초연결성을 고려해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 차원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당면한 위기에 대한 국가주의적 대응의 한계를 넘어 한‧중‧일 시민사회가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새로운 시민운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세히 보기

창립 18주년 심포지엄

분열된 세계, 한반도 평화의 딜레마

분열된 세계, 한반도 평화의 딜레마

기후변화와 팬데믹,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당면한 신안보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초국경협력의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지구촌은 분열의 위기 앞에 서 있으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은 요원하다.

자세히 보기

리더십아카데미

평화리더십아카데미 1기

한국의 국가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민족의 통일과 인류 공동체의 과제를 해결하려는 소명의식을 지닌 역량있는 리더 그룹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기 위해서는 미래를 통찰하고 세계를 투시 하는 ‘창조적 소수’의 존재가 절실합니다. 평화리더십아카데미는 합리적인 사고, 문제 해결 능력, 그리고 리더십을 배양하는 토론의 장을 열고자 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