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The peace Foundation 평화재단

강화도

조회
124
등록일
2024-09-30

단군 시대부터 구한말까지 전 역사가 녹아있는 역사의 현장

우리 민족의 상고사인 단군 시대부터 구한말 개화시기까지의 전 역사가 녹아있는 역사의 현장. 1천년이 넘게 고려 개성과 조선 서울을 지키는 관문 역할을 하면서 모든 외세의 침입을 가장 먼저 막아내던 곳. 역사 • 평화 • 생태 • 안보 기행을 함께 할 수 있는 체험 학습 현장

기행지도

추천 코스

1) 기본코스 : 강화평화전망대 ~ 강화 역사박물관 ~ 강화고인돌 ~ 광성보 ~ 전등사

2) 국난 극복 코스 : 고려천도공원 ~ 연미정 ~ 강화전쟁박물관 ~ 선원사지 ~ 광성보

3) 병자호란 코스 : 강화전쟁박물관(갑곶돈대) ~ 강화읍성 남문 ~ 연미정

4) 병인양요 코스: 김포 문수산성 ~ 김포 덕포진 ~ 정족산성 ~ 고려궁지

5) 신미양요 코스: 강화역사박물관 ~ 강화전쟁박물관 ~ 광성보 ~ 덕진진 ~ 초지진

연미정 ~ 강화전쟁박물관 ~ 강화외성 ~ 광성보 ~ 초지진 ~ 분오리둔대 ~ 계룡돈대

7)고려 사적 코스: 고려천도공원 ~ 강화역사박물관 ~ 강화읍성 서문 ~ 고려궁지 ~ 강화읍성 남문 ~ 강화외성

주요사적지

  • 강화 평화 전망대

    강화도 최북단 양사면 제적봉에 있는 전망대면서, 휴전선 248km 구간에 있는 북한 전망대 중 가장 서쪽에 위치해 있다. 조강 건너편으로 개성시와 예성강, 황해도의 연백벌이 보인다.

  • 교동도

    조선시대 충청, 경기, 황해의 삼도수군 지휘부인 삼도수군통어영을 두었던 해상 교통의 요충지였다. 서울 인근이면서 바다로 둘러쌓여 있어서 연산군, 광해군 등 왕족의 유배지로 이용되었다.

  • 강화 역사박물관

    강화도 전체의 역사와 유적지를 모형과 사진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전시하고 있다. 강화도의 역사를 배우기 위해 가장 먼저 들러야 하는 곳이다.

  • 강화 고인돌

    강화 하점면 부근리에 있는 고인돌로 탁자식 , 또는 북방식 고인돌을 대표하는 유적이다. 청동기 시대 지배계급의 무덤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수가 우리나라에 있으며 그 중 강화도, 고창, 화순 고인돌 유적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강화 전쟁박물관

    강화도에서 일어난 수많은 전쟁의 역사와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신미양요 때 광성보 전투에서 빼앗겼던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도 만날 수 있다.

  • 갑곶돈대

    예로부터 김포에서 강화로 들어가는 길목 역할을 하던 곳이며, 병인양요 때에도 프랑스 극동함대의 로즈 제독이 600명의 군대를 이끌고 강화도로 상륙했던 곳이다.

  • 광성보

    강화해협의 요충지인 손돌목을 사이로 건너편 김포의 덕포진과 마주하고 있다. 또한 신미양요 때 어재연, 어재순 형제와 350여명의 조선 수군이 끝까지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곳이다.

  • 손돌목돈대

    염하 구간 중 가장 물살이 쎄고 뱃사공 손돌의 이름이 남아있는 손돌목을 내려다보며 지키는 요새. 신미양요 당시 열악한 무기에도 불구하고 최후까지 돌과 주먹으로 백병전을 벌였던 곳이다.

  • 용두돈대

    손돌목 쪽으로 용머리처럼 돌출한 자연 암반위에 만든 돈대이며 강화 제1경으로 꼽힌다. 돈대 앞 여울을 손돌목이라 부르며, 건너편 김포의 덕포진엔 뱃사공 손돌의 묘가 있다.

  • 초지진

    강화도 외곽을 지키는 5진 7보 중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다.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과, 신미양요 당시 미군과, 일본의 운요호와도 교전하였고, 초지진 옆 소나무에는 신미양요 때 포탄을 맞은 흔적이 남아있다.

  • 덕진진

    김포의 덕포진과 함께 해협을 지키며 15문의 포가 남아있는 강화도 제1의 포대이다. 신미양요 때 초지진에 상륙한 미군에 의해 연이어 함락되었던 격전지였다.

  • 강화외성

    강화도는 강화산성, 또는 강화읍성이라 불리는 내성과 내성을 둘러싼 외곽의 강화중성, 그리고 동쪽의 강화해협으로부터 상륙하는 적을 막기 위한 강화외성까지 3중성으로 방어했다. 강화외성은 적북돈대부터 초지돈대까지 염하를 따라 23km 구간을 벽돌로 쌓았다.

  • 선원사지

    고려는 몽골의 침입을 피해 강화도로 천도했고, 선원사에서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대장도감을 설치, 팔만대장경을 조성하였다. 그 후 대장경 목판은 조선 초에 육로를 통해 합천 해인사로 옮겨져서 현재까지 보관되고 있다.

  • 전등사

    정족산에 위치한 사찰로 고구려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웅전 추녀에는 목수가 사랑했지만 돈을 들고 도망간 여인이 평생 죄를 뉘우치며 살라고 만든 나녀상이 유명하다. 절 뒷편은 실록을 보관했던 정족산 사고 터가 있다.

  • 정족산성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고 해서 삼랑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정족산성 안에는 천년 고찰 전등사와 함께 실록을 보관했던 정족산 사고가 있었으며, 병인양요 때 양헌수를 비롯한 조선 군대가 매복해 있다가 프랑스 군을 물리친 승전지이다.

  • 정족산사고지

    정족산성 내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창고. 임진왜란 중에 서울과 충주, 성주의 사고가 불타버렸고, 전주의 실록 복사본을 보다 깊은 산속으로 옮기면서 태백산, 오대산, 묘향산과 함께 강화도에 사고가 마련되었다.

  • 분오리돈대

    강화도의 54개 돈대 중 가장 남쪽 중앙에 위치한 돈대. 바다로 돌출된 자연 벼랑위에 만들어져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 계룡돈대

    강화도 서쪽 갯벌을 간척해 만든 망월평야를 지키는 돈대. 1679년 경상도 군위현의 어영군이 축조했다는 명문이 남아있어 강화도 54개 돈대 중 유일하게 조성 연대를 알 수 있다.

  • 월곶돈대(연미정)

    강화도와 김포반도 사이 염하의 북쪽 입구를 지키는 돈대이며 연미정이라는 아름다운 정자가 있다. 1627년 정묘호란 당시 연미정에서 인조임금은 후금과 형제 관계의 굴욕적인 강화조약을 맺게 된다.

  • 고려궁지

    고려가 몽골과 대항하기 위해 1232년 개성에서 강화도로 수도를 옮긴 후 39년간 사용한 궁궐터이다. 항몽 기간 고려는 강화읍성과 중성, 외성까지 3중성으로 궁궐을 방어하도록 성곽을 건설하였다. 현재 강화읍성 내 고려궁지에는 조선시대 외규장각 건물이 복원되어 있다.

  • 강화읍성 남문

    강화읍성의 남문은 안파루라고 한다. 1637년 병자호란 당시 종묘와 왕실의 비빈들은 강화도로 대피하였고, 함께 뒤따라 온 김상용은 청군의 강화읍성 침략에 맞서 안파루에 폭약을 쌓고 자결하였다.

  • 강화읍성 서문(연무당)

    강화읍성의 서문은 첨화루이며 옆에는 군사들을 훈련시키던 연무당 건물 터가 남아있다. 1876년 운요호를 끌고 온 일본의 무력 앞에 불평등한 강화도조약을 체결했던 곳이다.

  • 강화 평화 전망대

    강화도 최북단 양사면 제적봉에 있는 전망대면서, 휴전선 248km 구간에 있는 북한 전망대 중 가장 서쪽에 위치해 있다. 조강 건너편으로 개성시와 예성강, 황해도의 연백벌이 보인다.

  • 교동도

    조선시대 충청, 경기, 황해의 삼도수군 지휘부인 삼도수군통어영을 두었던 해상 교통의 요충지였다. 서울 인근이면서 바다로 둘러쌓여 있어서 연산군, 광해군 등 왕족의 유배지로 이용되었다.

  • 강화 역사박물관

    강화도 전체의 역사와 유적지를 모형과 사진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전시하고 있다. 강화도의 역사를 배우기 위해 가장 먼저 들러야 하는 곳이다.

  • 강화 고인돌

    강화 하점면 부근리에 있는 고인돌로 탁자식 , 또는 북방식 고인돌을 대표하는 유적이다. 청동기 시대 지배계급의 무덤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수가 우리나라에 있으며 그 중 강화도, 고창, 화순 고인돌 유적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강화 전쟁박물관

    강화도에서 일어난 수많은 전쟁의 역사와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신미양요 때 광성보 전투에서 빼앗겼던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도 만날 수 있다.

  • 갑곶돈대

    예로부터 김포에서 강화로 들어가는 길목 역할을 하던 곳이며, 병인양요 때에도 프랑스 극동함대의 로즈 제독이 600명의 군대를 이끌고 강화도로 상륙했던 곳이다.

  • 광성보

    강화해협의 요충지인 손돌목을 사이로 건너편 김포의 덕포진과 마주하고 있다. 또한 신미양요 때 어재연, 어재순 형제와 350여명의 조선 수군이 끝까지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곳이다.

  • 손돌목돈대

    염하 구간 중 가장 물살이 쎄고 뱃사공 손돌의 이름이 남아있는 손돌목을 내려다보며 지키는 요새. 신미양요 당시 열악한 무기에도 불구하고 최후까지 돌과 주먹으로 백병전을 벌였던 곳이다.

  • 용두돈대

    손돌목 쪽으로 용머리처럼 돌출한 자연 암반위에 만든 돈대이며 강화 제1경으로 꼽힌다. 돈대 앞 여울을 손돌목이라 부르며, 건너편 김포의 덕포진엔 뱃사공 손돌의 묘가 있다.

  • 초지진

    강화도 외곽을 지키는 5진 7보 중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다.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과, 신미양요 당시 미군과, 일본의 운요호와도 교전하였고, 초지진 옆 소나무에는 신미양요 때 포탄을 맞은 흔적이 남아있다.

  • 덕진진

    김포의 덕포진과 함께 해협을 지키며 15문의 포가 남아있는 강화도 제1의 포대이다. 신미양요 때 초지진에 상륙한 미군에 의해 연이어 함락되었던 격전지였다.

  • 강화외성

    강화도는 강화산성, 또는 강화읍성이라 불리는 내성과 내성을 둘러싼 외곽의 강화중성, 그리고 동쪽의 강화해협으로부터 상륙하는 적을 막기 위한 강화외성까지 3중성으로 방어했다. 강화외성은 적북돈대부터 초지돈대까지 염하를 따라 23km 구간을 벽돌로 쌓았다.

  • 선원사지

    고려는 몽골의 침입을 피해 강화도로 천도했고, 선원사에서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대장도감을 설치, 팔만대장경을 조성하였다. 그 후 대장경 목판은 조선 초에 육로를 통해 합천 해인사로 옮겨져서 현재까지 보관되고 있다.

  • 전등사

    정족산에 위치한 사찰로 고구려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웅전 추녀에는 목수가 사랑했지만 돈을 들고 도망간 여인이 평생 죄를 뉘우치며 살라고 만든 나녀상이 유명하다. 절 뒷편은 실록을 보관했던 정족산 사고 터가 있다.

  • 정족산성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고 해서 삼랑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정족산성 안에는 천년 고찰 전등사와 함께 실록을 보관했던 정족산 사고가 있었으며, 병인양요 때 양헌수를 비롯한 조선 군대가 매복해 있다가 프랑스 군을 물리친 승전지이다.

  • 정족산사고지

    정족산성 내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창고. 임진왜란 중에 서울과 충주, 성주의 사고가 불타버렸고, 전주의 실록 복사본을 보다 깊은 산속으로 옮기면서 태백산, 오대산, 묘향산과 함께 강화도에 사고가 마련되었다.

  • 분오리돈대

    강화도의 54개 돈대 중 가장 남쪽 중앙에 위치한 돈대. 바다로 돌출된 자연 벼랑위에 만들어져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 계룡돈대

    강화도 서쪽 갯벌을 간척해 만든 망월평야를 지키는 돈대. 1679년 경상도 군위현의 어영군이 축조했다는 명문이 남아있어 강화도 54개 돈대 중 유일하게 조성 연대를 알 수 있다.

  • 월곶돈대(연미정)

    강화도와 김포반도 사이 염하의 북쪽 입구를 지키는 돈대이며 연미정이라는 아름다운 정자가 있다. 1627년 정묘호란 당시 연미정에서 인조임금은 후금과 형제 관계의 굴욕적인 강화조약을 맺게 된다.

  • 고려궁지

    고려가 몽골과 대항하기 위해 1232년 개성에서 강화도로 수도를 옮긴 후 39년간 사용한 궁궐터이다. 항몽 기간 고려는 강화읍성과 중성, 외성까지 3중성으로 궁궐을 방어하도록 성곽을 건설하였다. 현재 강화읍성 내 고려궁지에는 조선시대 외규장각 건물이 복원되어 있다.

  • 강화읍성 남문

    강화읍성의 남문은 안파루라고 한다. 1637년 병자호란 당시 종묘와 왕실의 비빈들은 강화도로 대피하였고, 함께 뒤따라 온 김상용은 청군의 강화읍성 침략에 맞서 안파루에 폭약을 쌓고 자결하였다.

  • 강화읍성 서문(연무당)

    강화읍성의 서문은 첨화루이며 옆에는 군사들을 훈련시키던 연무당 건물 터가 남아있다. 1876년 운요호를 끌고 온 일본의 무력 앞에 불평등한 강화도조약을 체결했던 곳이다.

이전으로 이동

이전글

다음으로 이동

다음글

목록

평화재단 후원

소중한 후원 덕분에 평화재단이 존재합니다

후원하기

심포지엄

창립2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세히 보기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