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TED PROJECTS
완료프로젝트
화해와 평화, 상생을 위한 연구
평화재단은 설립후 2005년부터 ‘화해와 평화, 상생’을 위한 연구정책활동에 본격적으로 돌입했습니다. 1차 콜로키움은 4개 주제의 전문가모임(평화체제, 북한현실, 북한인권, 평화법제)을 결성하여 실질적인 정책 방안을 생산하는데 주력했고 연구 성과물은 당시 재단의 전문가포럼과 토론회, 심포지엄을 통해 소개함으로써, 평화통일 정책에 대한 여론 형성에 기여해 왔습니다.
2018년에는 형식과 내용을 좀더 보강하여 2차 콜로키움 사업이 총 8개 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이외 2023년에 시작한 정세토크는 대중적인 좌담회 형식으로 기획되어 2017년까지 진행되었습니다.

-
정세토크
북한 4차 핵실험과 격랑의 한반도
2016년 벽두, 모두의 예상을 깨고 북한이 4차 핵실험을 단행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미일 안보협력은 강화되고 있고 이는 그동안 축적되어온 한중 신뢰관계에 영향을 미쳐 한국 외교가 어려운 국면에 직면하게 되었다. 북한의 4차 핵실험은 김정은 정권의 무리수인가? 미국과 중국이 주도해온 북핵 문제 해법의 한계인가? 전격적인 북한의 4차 핵실험의 의도와 파급력, 격랑에 휩싸인 한반도 정세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2016-01-21
418 -
정세토크
한·러 수교 25년, 러시아를 다시 묻는다
러시아와 수교를 맺은 지 25년이 된 지금까지도 우리 국민에게 러시아는 아직 낯설고 먼 나라이고 관련 정책은 원칙적 선언으로 그치는 듯 하다. 과거부터 러시아는 한반도와 동북아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쳐왔고 현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등 주요 외교정책도 러시아를 제외하고는 실현이 어려운 만큼, 러시아를 제대로 이해하고 한반도 평화에 러시아의 중요성을 가늠해보고자 전문가들의 강의와 질의응답 형식으로 3회 연속 진행하였다.
2015-10-19
333 -
정세토크
한일수교 50년, 어떤 관계로 나갈 것인가?
올해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이하여 멀고도 가까운 나라 일본'을 심층 해부하고, 우리가 바라는 한반도의 평화와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로 가는 길에 일본과 어떻게 만날 수 있을지 모색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은 앞으로 어떤 관계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기회로 삼고자, 일본 전문가 남기정 교수의 강의와 청중의 질의응답 형식으로 3회 연속 진행하였다.
2015-05-13
382 -
정세토크
동북아 국제질서의 지각변동, 라이샤워 명제의 극복을 모색한다!
냉전체제의 해체와 중국의 급격한 부상으로 동북아 국제질서의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으나, 전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탄생한 미일동맹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미국의 동북아 정책은 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남북한 통일을 주도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한미동맹체제를 근간으로 한중관계 역시 중요한 외교자원으로 활용해야 하는데, 현재 우리 외교는 어느 지점에 서 있는지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3회 연속 '라이샤워 명제'의 극복이라는 시각으로 패널들의 활발한 토의가 이뤄졌다.
2015-02-09
322 -
정세토크
한반도 통일, 중국과 대만의 관계에서 배운다면?
2013년 시작한 정세토크는 대중적인 좌담회 형식으로 기획되어 가볍게 풀어내는 장이 되었고 2017년까지 진행되었습니다.
2013-10-07
338 -
정세토크
한미관계에서 한국의 미래를 묻다
2013년 시작한 정세토크는 대중적인 좌담회 형식으로 기획되어 가볍게 풀어내는 장이 되었고 2017년까지 진행되었습니다.
2013-06-26
392 -
전문세미나
남북관계 뒤집어보기
북한연구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국제정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외교∙협상 현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이수혁 전독일대사의 “한반도문제의역설적가설”이라는 새로운 문제접근방식을 통해 ‘남북문제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관점에서 한반도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2011-04-06
395 -
전문세미나
한반도 정세분석과 전략수립을 위한 방법론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국제관계의 과거와 현재를 평가하고, 미래에 대한 예측을 통하여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의 변화하는 국가이익과 전략을 파악하는 것은 올바른 국제정세 분석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외교안보 전문세미나]를 통해 과거 동북아 국제정세의 패턴을 파악하고 현재 주변강대국의 전략을 이해하면서 우리의 미래 국가비전과 전략을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2010-03-16
383 -
평화논평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분석·평가와 정책 대안 제시
2006년 5월부터는 한반도와 북한문제와 관련된 중요 현안에 대하여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이를 분석·평가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평화논평’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2006-05-15
391 -
콜로기움 1기
전문가들이 토의와 공동연구를 통해 다양한 정책 대안 모색
평화재단은 여러가지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법 제도와 정책대안을 꾸준히 마련해왔다. 정책대안의 문제의식과 과제는 주로 ‘전문가 모임’을 통해서 발굴되고 토의되었다. 특히 출범 초기에 활동했던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방안 연구모임’과 ‘남북화해와 북한인권개선 연구모임’, ‘통일을 위한 평화법제 연구모임’은 정책 연구와 대안정책 생산에 주도적으로 역할 했다.
2006-03-15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