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전환패러다임시리즈
우리사회는 새로운 기술의 혁신에 따른 사회적 변화로 인해 생활 편의성은 높아 졌지만 물질과 소비 중심의 세계관으로 인한 환경문제와 인간성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변화 또한 급격하게 나타나고 있다. 미래 사회의 다양한 변화를 면밀하게 살펴 봄으로써 우리는 보다 지혜로운 대응 방안을 모색할수 있을 것이다.
1. 개 요
일시 : 6월7일(목)~ 6월28일(목) 저녁7시30분~ 9시 30분, 총 4주
장소 : 평화재단 3층 강당
대상 : 새로운 문명의 주인이 될 누구나
2. 들어가며
우리사회는 새로운 기술의 혁신에 따른 사회적 변화로 인해 생활 편의성은 높아 졌지만
물질과 소비 중심의 세계관으로 인한 환경문제와 인간성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변화 또한 급격하게 나타나고 있다.
미래 사회의 다양한 변화를 면밀하게 살펴 봄으로써
우리는 보다 지혜로운 대응 방안을 모색할수 있을 것이다.
4. 강사소개
(1) 구본권 (한겨레신문기자, 사람과 디지털연구소장)
저자 구본권은 우리 시대 디지털 인문학자.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에서 박사학위(언론학)를 받았으며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 1990년부터〈한겨레〉에서 기자로 일하고 있으며, 현재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빛과 그늘을 함께 보도해온 IT 전문 저널리스트로, 국내에 ‘잊혀질 권리’에 관한 논의를 처음 제기하며 관련 서적을 번역하고 논문을 발표해왔다. 기술과 사람이 건강한 관계를 구축할 방도를 궁리하며 글 쓰고 강의한다.
저서 《로봇 시대, 인간의 일》에서 그는 우리 사회가 스마트 시대에서 인공지능 로봇 시대로 진입했음을 알린다. 인류 역사상 가장 근본적인 변화를 목전에 둔 지금,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그가 던지는 질문들은 우리에게 미래를 전망할 새로운 생각의 지도를 펼쳐 보인다. 변화의 위협을 기회로 만들 실질적 조언과 통찰은 우리에게 인공지능 로봇 시대를 살아갈 지표가 되어줄 것이다.
(2)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실장)
무인자동차, 드론, 스마트홈 등의 기술발전으로 사물인터넷 시대가 열리고 있음. 사물인터넷으로 우리 생활에 큰 변화를 가지고 올 것으로 예상함. 또한 인터넷 기술을 바탕으로 한 공유경제가 새로운 경제흐름으로 등장하면서 미래사회는 인터넷으로 모든 세상이 연결되는 초연결시대로 가고 있음을 미래학자들은 예상하고 있음. 이 강좌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누고자 한다.
(3) 김지현( SK플레닛 상무)
20여 년간 인터넷 서비스 업계에 종사하면서, 온라인 비즈니스와 IT 기반의 혁신 사례에 대한 저술 활동을 해오고 있다. 현재 SK플래닛에서 O2O 사업 전략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정보미디어 경영대학원 겸직 교수로 활동 중이다. 또한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모바일 서비스와 스마트 TV 서비스 기획을 담당했고, 다음취업과 소프트뱅크유웨이, PCBEE 등의 다양한 인터넷 스타트업에서 근무했다. 지은 책으로는 《모바일 이노베이션》, 《호모스마트쿠스로 진화하라》를 포함해 총 47여 권이 있다.
- #미래경제
- # AI
- # 사물인터넷
- # 공존
- # 미래사회
이전글
다음글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신고사유
댓글 0